지은이 | 이나미 리쓰코 | 옮긴이 | 이동철, 박은희 |
출판사 | ㈜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| 발행일 | 20180315 |
읽은 날 | 20180509~0511 |
|
고사성어는 탄생에 있어서 대부분 맥락이 있고, 배경이 되는 역사적 사실(사건)이 있다. 배경을 알고 보면 더 재미있다. 이미 알던 고사성어들을 다시 확인해볼 수 있었고, 새로 알게된 고사성어가 유익하다.
저자의 글솜씨도 대단히 만족스럽다. 함축된 언어로 정치(整治)한 기술이 마음에 든다.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도 좋을 책이다.
저자 이나미 리쓰코는 교토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. 가나자와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명예교수로 있다.
저서로는 <삼국지연의>, <중국 문장가 열전>, <중국의 5대 소설>, <중국인의 기지>, <중국문학의 유쾌한 세계>, <삼국지를 읽다>, <삼국지 명언집>, <중국 명언집>, <중국 명시집> 등이 있다.
제1장 「한번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」 - 명군과 폭군의 시대
1. 오제 시대
황제, 포악한 반역자를 토벌하다/ 이상적인 군주, 요순/ 우, 치수의 공적으로 천자에
2. 망국의 군주들
자애로움이 깊은 탕임금/ 주와 미녀 달기/ 고공단보의 세 아들/ 문왕, 태공망을 찾아내다/ 권력에 영합하지 않는 삶의 방식/ 유교의 이상, 주공 단/ 되풀이되는 미녀의 왕국
제2장 「오월동주」 - 난세를 살아가는 모습
1. 춘추오패
제의 환공/ 기적의 패자, 진의 문공/ “울지 않고 날지 않는” 초의 장왕/ 중간을 이은 패자, 송의 양공/ 진나라 약진의 기초를 다지다/ 오와 월의 전쟁
2. 공자의 등장
대사상가의 생애/ 동행의 제자들/ 반전 사상가, 묵자
3. 전국의 군상
질풍노도의 시대 시작되다/ 중원의 명군, 위의 문후/ 전국의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유세가/ 손빈의 복수극/ 제자백가의 거점/ 맹자의 생존방식/ 순자와 한비자/ 연의 명장 악의
4. 서방의 대국 진(秦)
효공과 상앙의 국가 개조 계획/ 소진과 장의 – 세치 혀끝의 재주/ 중국사상의 황금시대/ 전국 사군의 활약/ 천하 통일을 향한 큰 물결/ “진기한 물건은 사 두어야 한다”
제3장 「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않는다」 - 통일 왕조의 출현
1. 진의 시황제
냉혹한 진왕 정/ 불발로 끝난 암살극/ 시황제의 천하 통일/ 조고의 공포정치
2. 초한의 전쟁
군웅할거의 난세/ 항우와 유방
3. 전한과 후한 왕조
여후의 전횡/ 정치에 휘말린 만년의 무제/ 전한 왕조의 멸망/ 광무제, 후한 왕조를 세우다/ 서역에 생애를 건 반초/ 청렴결백의 사람, 양진/ 환관파와 청류파
제4장 「파죽의 기세」 - 영웅과 호걸의 시대
1. 삼국분립
화북의 패자, 조조/ 유비의 전변/ 적벽 대전/ 삼국 분립 태세가 굳어지다/ 제1세대의 퇴장/ 제갈량의 북벌/ 사마씨와 죽림칠현
2. 여러 왕조의 흥망
서진의 천하 통일/ 졸부 세 사람과 왕조의 쇠망/ 서진의 문학/ 동진과 낭야의 왕씨/ 대예술가들의 시대/ 환온과 사안/ 동진의 멸망/ 은둔의 시인, 도연명/ 남북조의 흥망
제5장 「봄날 단잠에 날 밝는 줄 몰랐더니」 - 대시인이 묘사한 세계
1. 당•삼백 년의 왕조
초당 – 정관의 다스림/ 측천무후의 시대/ 성당 – 현종과 양귀비/ 성당의 시인들/ 중당의 시대상황과 전기소설/ 황소의 난에 이르는 대혼란/ 예감되는 멸망
2. 사대부 문화의 대두
북송 왕조의 성립/ 북송의 문치주의/ 정치의 혼란, 문예의 성숙/ 남송 왕조의 성립/ 주자학과 남송의 문화/ 금과 남송의 멸망
제6장 「산 속 도적은 깨뜨리기 쉬워도 마음속 도적은 깨뜨리기 어렵다」 - 능란하게 고사성어를 구사한 사람들
1. 야율초재와 왕양명
원 왕조의 주역/ 속문학의 성숙/ 원 왕조의 멸망/ 명 왕조의 성립과 퇴폐/ 오중의 사재와 왕양명/ 명의 멸망
2. 최후의 왕조
청 왕조와 강남 지식인/ 청의 전성기에 태어난 『홍루몽』/ 내우외환 속에서
'독서이야기 >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02. 태조,정종실록 (0) | 2018.08.04 |
---|---|
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01. 개국 (0) | 2018.07.30 |
<기사> 농담과 지능 (0) | 2016.08.07 |
공부상처-학습 부진의 심리학: 배움의 본능 되살리기 (0) | 2013.10.10 |
21세기를 여는 대화.. (0) | 2012.04.02 |